오세훈 서울시장의 선거공약이었던 서울시 4무 안심금융 대출이 드디어 시작됩니다.
코로나19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소상공인들을 위해 서울시와 서울신용보증재단이 준비한 특별 금융지원 프로그램으로 서울시에서 대출이자의 일부와 보증료 전액을 지원한다고 해요.
서울시 4무 안심금융이란?
무이자(1년간), 무보증료, 무담보, 무종이서류(모바일 신청 시)로 시행되는 서울시 소상공인을 위한 대출 프로그램입니다.
서울시 4무 안심금융 신청 자격
이번 지원은 '일반 4무 안심금융', '저신용자 특별 4무 안심금융, '자치구 4무 안심금융'으로 나누어 집니다.
먼저 첫번째 일반 4무 안심금융은 서울 소재 중소기업과 소상공인 대표자가 개인신용평점 595점 이상(옛 7등급)이면 신청할 수 있다. 한도 심사 없이 업체당 최대 2천만원, 심사를 받으면 최대 1억원까지 신청가능합니다. (신청하면 보증재단에서 신용도와 매출규모 등에 따라 차등 산정합니다.)
두번째 저신용자 특별 4무 안심금융은 신용평점 350∼744점 이하(옛 6~9등급)인 저신용 소상공인이 대상입니다.
심사 기준을 일부 완화해 업체당 최대 2천만원 한도로 지원한다.(기보증을 포함한 한도라고 합니다.)
세번째 자치구 4무 안심금융은 4월부터 이미 시행중으로 본인이 소재한 지역 구청 홈페이지에서 세부 자격을 확인 가능합니다. 이미 자치구 구청 대출을 받은 분들도 위의 일반이나 저신용자 프로그램을 신청가능해요. 또한 이미 자치구 상품을 이용했다면 이용하면서 냈던 2000만원에 대한 보증료 약 35만원 가량이 환급 된다고 합니다. (8월 이후)
서울시 4무 안심금융 신청 방법
이번 서울 4무 융자는 방문접수도 가능하고 방문하지 않는 비대면 접수도 가능해요.
1. 안심금융 상담창구 (서울시 소재 5개 은행 영업점 380여개) : 신청금액 5천만원 이하에 한함
- 신한은행, 우리은행, 국민은행, 농협은행, 하나은행
2. 보증재단 영업점 방문 상담을 원한다면?
- 고객센터(1577-6119) 또는 홈페이지 메인화면 [지점방문예약] 클릭 후 예정일에 방문하시면 됩니다.
3. 보증재단을 방문하지 않고 신용보증을 해야 한다면? (개인사업자 중 단독대표에 한함, 공동인증서 필수)
- 홈페이지 메인화면 [무방문 신청하기] - [신용보증신청] 클릭
4. 아무 곳도 방문하지 않고 신청은 하나은행 기업뱅킹 모바일 앱(개인사업자 중 단독대표에 한함, 공동인증서 필수)
-스마트 폰에서 플레이스토어를 클릭하고 하나원큐 기업 앱을 설치하셔야 해요.
서울시 4무 안심금융 기본 필요서류
무서류라고 하지만 심사가 필요한 경우에는 서류가 준비되어 있으면 좋겠죠?
사업자등록증사본, 신분증, 임차계약서(사업장 및 주소지), 국세 납세증명서, 지방세 납세증명서, 부가가치세 과세표준증명원, 소득금액증명원 등 이 보통 기본 제출 서류이며 재단이나 은행에 따라 추가 되거나 제출이 필요하지 않기도 합니다. 위 서류등은 홈택스에서 공인인증서만 있다면 쉽게 발급가능하니 미리 준비해 두시면 도움이 되리라 생각합니다.
홈택스 누리집
국세청 홈택스
www.hometax.go.kr
서울시 4무 안심금융 방문 상담 가능 은행 지점
서울 안심금융 상담창구 리스트입니다. 개인정보를 위해서 담당직원 이름과 전화번호는 삭제하였습니다.
PC를 이용하여 클릭하면 확대보기가 가능합니다.
신한은행 안심금융 상담 가능 지점주소
우리은행 안심금융 상담 가능 지점주소
국민은행 안심금융 상담 가능 지점주소
농협은행 안심금융 상담 가능 지점주소
하나은행 안심금융 상담 가능 지점주소